‘토목(공)학’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다리, 터널, 철도, 지하철 등의 교통시설, 발전소 같은 전력시설, 댐 같은 해양시설, 상하수도, 환경관련시설, 안전관리시설 등 각종 사회기반시설물이 안전하게 작동하여 최적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시공·유지하는 지식과 기술을 공부합니다. 우주개발이나 사막개발, 해저개발 등 탐구영역이 점차 넓어지는 추세입니다.
관련학과로는 건설시스템공학과, 토목환경공학과,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토목건설과, 지역환경토목학과, 철도토목학과, 산업토목학과, 토목공학과, 토목도시환경과 가 있습니다.
토목공학과에서는 구조공학, 수공학(물과 관련한 공학), 지반공학, 상하수도공학 등의 영역을 탐구합니다. 자연환경, 지형 등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어야 하므로 도시공학과, 환경공학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저학년 때는 물리학, 역학, 미적분학, 수치해석, 공업수학 등 공학적 기초지식을 중심으로 공부하며, 고학년이 되면 실제 구조물의 설계와 시공에 대한 전문지식을 공부합니다.
전문대학에서는 토목에 대한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설계와 시공에 대한 기술을 배우며, 현장실습이나 CAD를 이용한 설계 등을 통해 실무능력을 기르는데 중점을 둡니다.
‡ 기초과목 : 공학수학, 수리학, 토질역학, 구조공학, 철근콘크리트공학, 토목시공학, 토목설계
‡ 심화과목 : 건설시공 및 설계, 교통공학, 댐공학, 상하수도공학, 교량공학, 하천공학
- 국가자격 : 토목기사, 철도보선기사, 지적기사, 건설안전기사,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 건설재료시험기사, 도시계획기사
- 학회 : 대한토목학회, 한국강구조학회, 한국콘크리트학회 등